조회 수 138 댓글 0

강릉향교 江陵鄕校 Gangreu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9호인 강릉향교는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을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며 마지막으로 들렸다. 비가 내리고 있었지만 상주하고 계시던 김남철 사무국장님께서 안내해 주셨다. 강릉향교는 역사가 있는 건물로 가장 잘 정제된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전국에 산재해 있는 향교의 규범이 되는 향교이다. 한국전쟁 때에도 건물이 불타지 않아 옛 규모와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강릉향교 명륜당과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은 2020년 12월 29일 보물로 지정됐다.

 

강릉향교_0010.jpg

강릉향교 전경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에 위치하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이다.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 교육기관으로, 성현에 대한 재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다. 강릉향교는 1313년인 고려 충선왕 5년에 강릉존무사 김승인이 화부산 아래에 창건하였다. 조선 태종 11년인 1411년에 불에 타 없어졌던 것올 2년 뒤에 판관 이맹상의 발의로 다시 세웠고 그 뒤에도 여러 차례 수리를 하였는데, 한국전쟁 때에 피해를 입지 않아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1909년에 화산학교를 설럽하여 신학문을 교육하였고, 일제 강점기에는 강릉농업학교를 비롯하여 초 . 중 • 고 6개교를 명륜당에서 개교시켰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초정일에 석전대제를 거행하고 있다.강릉향교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오성. 공문십철 송조육현을 봉안한 대성전과 우리나라의 18선현과 중국의 유명한 유학자를 봉안한 동무와 서무가 있고, 강론율 하던 명륜당과 유생들이 기숙을 하던 동재와 서재가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건물이 있다. 이 중 대성전은 보물 제214호로 지정되어 있다.
강릉향교 안내문 참조

 

강릉향교_0012.jpg

강릉향교의 동쪽 협문과 진학문

 

강릉향교_0015.jpg

강릉향교 명륜당

 

보물 제2088호로 지정된 강릉향교 명륜당은 정면 11칸,옆면 2칸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는 맞배지붕의 건물로 전국 향교 명륜당 중 가장 큰 규모의 누각형 건물이다. 일반 향교와는 달리 누각 문루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조선 초기 문루에서 명륜당으로 정착되는 과정의 과도기 형태로 남아있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강릉향교_0017.jpg

강릉향교 명륜당 편액 주희(朱熹)의 글씨이다.
 

 

명륜당 편액의 글씨는 주희(朱熹)의 글씨로 밝혀져 서울 문묘 명륜당보다 400여년 정도 앞선 시대의 글씨로 확인되었다.

 

강릉향교_0020.jpg

 

김남철 사무국장님의 안내로 먼저 살펴본 동재는 박물관을 방불케 할 정도로 강릉향교의 오래된 역사가 그대로 보관 전시되어 있었다.
 

강릉향교_0021.jpg

 

강릉향교_0025.jpg

 

강릉향교_0026.jpg

 

강릉향교_0027.jpg

 

강릉향교_0028.jpg

 

동재를 나가면 좌측으로 9칸 규모의 명륜당이 나오고 잘가꾸어진 정원을 사이에 두고 동재와 서재가 그리고 제향영역이 'ㅁ'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강릉향교_0029.jpg

 

강릉향교_0031.jpg  강릉향교_0033.jpg  강릉향교_0034.jpg

 

명륜당의 현판들

 

강릉향교_0040.jpg

 

강릉향교_0041.jpg

강릉향교 서재

 

강릉향교_0050.jpg

강릉향교 전랑

 

2020년 12월 29일 보물 제2089호로 지정된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된 강릉향교 대성전의 일곽에 해당하는 건물로 향교건축의 전형을 담고 있다.

 

강릉향교_0052.jpg

보물 제 214호 강릉향교 대성전 Daeseongjeon Shrine of Gangneu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향교는 국가에서 세운 지방 교육 기관이며, 대성전은 중국과 우리나라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대부분의 향교에서는 공자와 4성(안자. 중자. 자사. 명자), 우리나라 18현올 포함한 39현의 위패를 모시지만, 강릉향교는중국의 역대 성현 94명올 포함해 총 136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위패는 대성전과 동무와 서무에 나누어 모셨다.대성전 앞에는 강의실인 명륜당과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있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단순하지만 절제된 힘이 느껴지며, 의식을 치르는 공간인 향교의 성격을 잘 드러낸다. 대성전의 엄중한 분위기는 성현의 가르침올 배우고 몸소 실천하려던 선비들의 마음가짐을 잘 반영하고 있다.
강릉향교 안내문 참조

 

강릉향교_0052_1.jpg

 

강릉향교_0053.jpg

강릉향교 대성전과 동무와 서무

 

강릉향교_0055.jpg

 

강릉향교_0057.jpg

 

강릉향교_0058.jpg

 

강릉향교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21명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강릉향교_0059.jpg

 

강릉향교_3512.jpg

 

강릉향교_3513.jpg

 

강릉향교_3713.jpg

 

강릉향교 동무에 모셔진 위패  동무(東)에는 58명, 서무(西)에는 57명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강릉향교_3716.jpg

 

강릉향교_3718.jpg

강릉향교 서무

 

강릉향교_3730.jpg

강릉향교 재방 서재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강릉향교_3732.jpg

 

강릉향교_3737.jpg

천운정사자리에 세워진 명륜문화관

 

강릉향교_3748.jpg

강릉명륜고등학교

 

강릉향교_3750.jpg

강릉향교 칠백년기념비

 

강릉향교_3752.jpg

 



  1. 한국의 향교 탐방 경상남도 합천향교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이었던 2022년 3월 9일 포항에서 전주로 가며 합천향교에 들렸다. 합천 향역에는 야로면에 합천향교, 삼가면에 삼가향교, 합천읍에 강양향교, 초계면에 초계향교 4개의 향교가 있는데 이 날은 대구광주고속도로 해인사IC에서 가까운 거리...
    Date2022.03.13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404
    Read More
  2.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북도 괴산향교

    3월 3일 오늘은 새벽에 포항에서 충북 괴산으로 출발하여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로 열린 2022년 학군장교(ROTC) 임관식을 취재하고 오후에는 괴산향교(槐山鄕校)와 주변을 천천히 돌아보며 다시 포항으로 복귀했다. 아무래도 지난 겨울에는 향교 탐방이 좀 뜸...
    Date2022.03.06 Category충청북도 By운영자 Views532
    Read More
  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논산 노성향교

    논산 노성향교 魯城鄕校 노성향교는 충남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4 (교촌리)에 위치하고 있다.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18호로 지정됐다. 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
    Date2022.01.11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391
    Read More
  4. 한국의 향교 탐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향교

    제주향교 濟州鄕校 Jejuhyanggyo Confucian School 제주에서의 짧은 휴가를 마치고 공항으로 가는중 잠시 제주향교에 들렸다. 예상대로 제주향교는 코로나19 사회적거리두기의 정부지침에 따라 휴관중이었다. 제주까지 와서 그냥 돌아서기에는 아쉬움이 많아 ...
    Date2021.12.28 Category제주도 By운영자 Views200
    Read More
  5.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북도 괴산 연풍향교

    연풍향교 延豊鄕校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향교로 40-2(행촌리)에 위치한 연풍향교는 1515년(중종 10) 괴산 연풍면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1981년 12월 26일 지정됐다. 2021년 11월 20일 방문했다. 연풍향교로 가는 길에 ...
    Date2021.12.28 Category충청북도 By운영자 Views184
    Read More
  6.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태안향교

    지난 주말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를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는데 하루 종일 비가 왔었는데 29일 태안에 취재차 들렸다가 오는 길에 태안향교와 해미향교를 들렸는데 이날도 가는 곳마다 비가 내린다. 그러나 비...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61
    Read More
  7.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산 해미향교

    태안향교 방문을 마치고 나오며 태안향교를 안내해 주신 윤경상 전교님께 인사를 드리니 포항으로 가는 길이면 고속도로를 이용해야하니 해미향교 바로 옆에 해미IC가 있으니 들려보라고 하신다. 태안향교에서 해미향교까지는 약 30km 정도로 40분정도 소요되...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98
    Read More
  8. 한국의 향교 탐방 경상북도 포항 청하향교

    청하향교 淸河鄕校 Cheonghahyanggyo Confucian School 청하향교는 올해 4월 초 독석리 해병대 상륙훈련 현장에 들렸다가 돌아가는 길에 들렸었는데 문이 닫혀 있어 천화루만 바라보고 돌아왔었으나 이번에는 이영대 전교님과 연락이 되어 직접 안내를 해주셨...
    Date2021.12.26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177
    Read More
  9. 수원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수원

    수원향교 水原鄕校 수원향교 홍살문, 능이나 궁정, 관가 등의 입구에 세우는 붉은 칠한 문으로 둥근기둥 2개를 세우고 지붕없이 붉은살을 박았다. 향교의 홍살문 안에는 위대 하신 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곳이므로 홍살문을 지나가는 사람은 반드시 경건한...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229
    Read More
  10. 과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과천

    과천향교 果川鄕校 Gwacheon Hyanggyo 2021년 6월 9일 서울 출장길에 공주향교 - 천안향교 - 안성향교 - 수원향교를 거쳐 마지막으로 과천향교를 방문했다. 과천향교는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개방을 하고 있었고 명륜당에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다. 3...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9
    Read More
  11. 여주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여주

    [한국의 향교 경기도] 여주향교 驪州鄕校 여주 향교는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데 정확힌 시기는 알 수 없다. 앞쪽 낮은 곳에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 높은 곳에 제향을 지내는 대성전이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구조를 따르고 있...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39
    Read More
  12. 옥구향교 임영식기자의 향교탐방 전라북도 군산 옥구향교

    옥구향교 沃溝鄕校 Okguhyanggyo Confucian School 옥구향교(沃溝鄕校)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沃溝邑) 상평리(上坪里)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옥구향교 홍살문 옥구향교는 1403년(태종 3)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213
    Read More
  13. 김제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김제향교

    김제향교 金堤鄕校 Gimjehyanggyo Confucian School 김제향교 만화루, 만화루는 2층 누각인 만화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향교 누각의 명칭을 보면 해당 향역에 있는 누각의 명칭들이 거의 동일하다. 전주향교, 김제 금구향교, 태인향교의 누...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53
    Read More
  14. 남원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남원향교

    남원향교 南原鄕校 Namwonhyanggyo confucian school 남원향교 진강루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에 위치한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71년 12월 2일 지정되었다. 진강루 우측에 있는 남원향교 츨입문인 ...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45
    Read More
  15.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任實鄕校 Imsilhyanggyo Confucian School 임실향교는 임실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서면 임실읍 일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당시의 위치...
    Date2021.12.18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60
    Read More
  16.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蔚山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울산향교 대성전 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 울산향교의 창건 연대나 초기 연혁은 임진왜란으로 기록이 멸실되어 정확히 알...
    Date2021.12.17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148
    Read More
  17. 한국의 향교 탐방 대구광역시 칠곡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대구광역시 칠곡향교 漆谷鄕校 ChilgokHyanggyo Confucian School 칠곡향교는 대구 북구 칠곡중앙대로 597번지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1981년 7월 1일 행정구역 변경으로 칠곡면이 대구시로 편입되었으나 칠곡향교의 향역(鄕域)은 대구광역...
    Date2021.12.17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146
    Read More
  18. 한국의 향교 탐방 대구광역시 대구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대구광역시 대구향교 大邱鄕校 DaeguHyanggyo Confucian School 2021년 7월 21일 대구광역시 향역에 있는 대구향교와 칠곡향교, 현풍향교를 둘려보기로 했는데 현풍향교는 시간관계상 다음에 방문하기로 했다. 명륜당 좌측의 담 넘어로 보이...
    Date2021.12.17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193
    Read More
  19.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여수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여수향교 麗水鄕校 YeosuHyanggyo Confucisan School 추석연휴인 9월 19일 구례향교 - 순천향교를 경유하여 여수향교(麗水鄕校)와 돌산향교를 방문했다. 여수향교는 전남 여수시 군자길 46 (군자동) 여수 앞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언...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74
    Read More
  20.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남도 순천향교 順天鄕校 SuncheonHyanggyo Confucian School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
    Date2021.12.17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8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