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67 댓글 0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정읍향교 井邑鄕校

 

향교는 조선시대 1읍(邑)에 모두 설치되었으므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개편으로 통합된 시군의 경우 통합된 군현의 수만큼 향교가 현존하고 있다. 전라북도의 향교는 익산시가 4개소로 가장 많고, 정읍ㆍ고창ㆍ김제가 각각 3개소이며 군산ㆍ남원ㆍ진안이 각각 2개소이고 나머지는 1개소이다. 정읍에는 정읍향교와 고부향교, 태인향교가 있다. 

 

LIM_1400.jpg

 

정읍향교는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지금의 수성리 구미동 사정지(射亭址)에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38년(인조 16) 이 지역의 유림 유황(柳璜)·유광위(柳光渭)·손후유(孫後裕) 등의 발의로 현재의 위치에 신축, 이전하였다. 1740년(영조 16) 명륜당을 신축하고 1776년에 중수하였으며, 1913년 직원(直員) 박흥규(朴興奎) 등의 희사로 대대적인 보수를 하였다. 그 뒤 1927년과 1932년에 명륜당을 중수하였다.

 

 

LIM_1401.jpg

 

 

LIM_1498.jpg

 

정읍향교는 정읍동초등학교 바로 옆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그간 향교를 돌아보았을때 향교 인근에는 대부분 학교가 있다는 것이 공통적이다. 주차공간이 없으니 도로 건너편 적당한 곳에 주차를 하여야 한다. 10여년 전에 한번 들려본 적이 있는데 약간의 변화가 있는 듯 하다. 하기사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LIM_1498_0.jpg

 

하마비와 비석군

 

LIM_1498_1.jpg

 

 

LIM_1499.jpg

 

 

LIM_1523.jpg

정읍향교 외삼문 강상문

 

 

LIM_1525.jpg

 

 

LIM_1527.jpg

대성전 내삼문

정읍향교는 제향공간인 대성전이 앞에 있고 강학공간인 명륜당에 뒤에 있는 전묘후학의 배치 방식이다. 전묘후학의 향교는 전주향교와 같이 대부분 평지에 세워진 향교들이 택하는 배치방식이다. 그러나 평지에 세워졌다고 전묘후학의 배치방식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

 

 

LIM_1528.jpg

 

정읍향교 대성전은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에 맞배지붕이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3호로 1984년 4월 1일 지정됐다.

 

LIM_1529.jpg

정읍향교 문묘위차도

 

 

LIM_1529_0.jpg

 

선수대

 

LIM_1529_1.jpg

 

대성전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안자, 증자, 자사, 맹자 등 5성과 동위와 서위에는 송조 4현과 한국의 18현을 모시고 있다. 즉 동위에는 돈이, 정이, 설총,안향, 김굉필, 조광조, 이황, 이이, 김장생, 김집, 송준길, 서위에는 정호, 주희, 최치원, 정몽주, 정여창, 이언적, 김인후, 성혼, 조헌, 송시열, 박세채 등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있다.

 

 

LIM_1530.jpg

 

1982년 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는 당시 수령 340년이었으며 수고는 25m, 나무둘레는 5.7m 이다.

 

LIM_1533.jpg

 

 

LIM_1535.jpg

 

대성전 좌측의 협문을 나와 돌담길을 조금 걸어가면 명륜당으로 들어가는 협문이 나온다.

 

LIM_1538.jpg

정읍향교 명륜당

 

 

LIM_1539.jpg

 

 

LIM_1539_1.jpg

정읍향교 전사청

정읍향교 명륜당에 기숙사격인 동재와 서재는 보이지 않고 우측에 전사청이 자리잡고 있다.

 

 

LIM_1541.jpg

 

 

LIM_1542.jpg

명륜당에서 바라본 대성전

 

 

LIM_1548.jpg

 

양사재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는 듯 하다.

 

정읍향교 건너편에는 정읍선비문화관이 있고 인근 정읍시청 옆에는 충열사가 있는 충무공원이 있다.

 



  1. 한국의 향교 탐방 경상남도 합천향교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이었던 2022년 3월 9일 포항에서 전주로 가며 합천향교에 들렸다. 합천 향역에는 야로면에 합천향교, 삼가면에 삼가향교, 합천읍에 강양향교, 초계면에 초계향교 4개의 향교가 있는데 이 날은 대구광주고속도로 해인사IC에서 가까운 거리...
    Date2022.03.13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683
    Read More
  2.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북도 괴산향교

    3월 3일 오늘은 새벽에 포항에서 충북 괴산으로 출발하여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로 열린 2022년 학군장교(ROTC) 임관식을 취재하고 오후에는 괴산향교(槐山鄕校)와 주변을 천천히 돌아보며 다시 포항으로 복귀했다. 아무래도 지난 겨울에는 향교 탐방이 좀 뜸...
    Date2022.03.06 Category충청북도 By운영자 Views1305
    Read More
  3.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논산 노성향교

    논산 노성향교 魯城鄕校 노성향교는 충남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4 (교촌리)에 위치하고 있다.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18호로 지정됐다. 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
    Date2022.01.11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638
    Read More
  4. 한국의 향교 탐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향교

    제주향교 濟州鄕校 Jejuhyanggyo Confucian School 제주에서의 짧은 휴가를 마치고 공항으로 가는중 잠시 제주향교에 들렸다. 예상대로 제주향교는 코로나19 사회적거리두기의 정부지침에 따라 휴관중이었다. 제주까지 와서 그냥 돌아서기에는 아쉬움이 많아 ...
    Date2021.12.28 Category제주도 By운영자 Views307
    Read More
  5.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북도 괴산 연풍향교

    연풍향교 延豊鄕校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향교로 40-2(행촌리)에 위치한 연풍향교는 1515년(중종 10) 괴산 연풍면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1981년 12월 26일 지정됐다. 2021년 11월 20일 방문했다. 연풍향교로 가는 길에 ...
    Date2021.12.28 Category충청북도 By운영자 Views309
    Read More
  6.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태안향교

    지난 주말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를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는데 하루 종일 비가 왔었는데 29일 태안에 취재차 들렸다가 오는 길에 태안향교와 해미향교를 들렸는데 이날도 가는 곳마다 비가 내린다. 그러나 비...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272
    Read More
  7.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서산 해미향교

    태안향교 방문을 마치고 나오며 태안향교를 안내해 주신 윤경상 전교님께 인사를 드리니 포항으로 가는 길이면 고속도로를 이용해야하니 해미향교 바로 옆에 해미IC가 있으니 들려보라고 하신다. 태안향교에서 해미향교까지는 약 30km 정도로 40분정도 소요되...
    Date2021.12.28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306
    Read More
  8. 한국의 향교 탐방 경상북도 포항 청하향교

    청하향교 淸河鄕校 Cheonghahyanggyo Confucian School 청하향교는 올해 4월 초 독석리 해병대 상륙훈련 현장에 들렸다가 돌아가는 길에 들렸었는데 문이 닫혀 있어 천화루만 바라보고 돌아왔었으나 이번에는 이영대 전교님과 연락이 되어 직접 안내를 해주셨...
    Date2021.12.26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294
    Read More
  9. 수원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수원

    수원향교 水原鄕校 수원향교 홍살문, 능이나 궁정, 관가 등의 입구에 세우는 붉은 칠한 문으로 둥근기둥 2개를 세우고 지붕없이 붉은살을 박았다. 향교의 홍살문 안에는 위대 하신 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곳이므로 홍살문을 지나가는 사람은 반드시 경건한...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355
    Read More
  10. 과천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과천

    과천향교 果川鄕校 Gwacheon Hyanggyo 2021년 6월 9일 서울 출장길에 공주향교 - 천안향교 - 안성향교 - 수원향교를 거쳐 마지막으로 과천향교를 방문했다. 과천향교는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개방을 하고 있었고 명륜당에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다. 3...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262
    Read More
  11. 여주향교 한국의 향교 탐방 경기도 여주

    [한국의 향교 경기도] 여주향교 驪州鄕校 여주 향교는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데 정확힌 시기는 알 수 없다. 앞쪽 낮은 곳에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 높은 곳에 제향을 지내는 대성전이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구조를 따르고 있...
    Date2021.12.24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264
    Read More
  12. 옥구향교 임영식기자의 향교탐방 전라북도 군산 옥구향교

    옥구향교 沃溝鄕校 Okguhyanggyo Confucian School 옥구향교(沃溝鄕校)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沃溝邑) 상평리(上坪里)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옥구향교 홍살문 옥구향교는 1403년(태종 3)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333
    Read More
  13. 김제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김제향교

    김제향교 金堤鄕校 Gimjehyanggyo Confucian School 김제향교 만화루, 만화루는 2층 누각인 만화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향교 누각의 명칭을 보면 해당 향역에 있는 누각의 명칭들이 거의 동일하다. 전주향교, 김제 금구향교, 태인향교의 누...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277
    Read More
  14. 남원향교 임영식기자의 한국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남원향교

    남원향교 南原鄕校 Namwonhyanggyo confucian school 남원향교 진강루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에 위치한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71년 12월 2일 지정되었다. 진강루 우측에 있는 남원향교 츨입문인 ...
    Date2021.12.24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281
    Read More
  15.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임실향교 임영식의 향교 탐방 전라북도 任實鄕校 Imsilhyanggyo Confucian School 임실향교는 임실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서면 임실읍 일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당시의 위치...
    Date2021.12.18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2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