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칠현산 칠장사(七長寺) Chiljangsa Temple
안성에 도착후 골프클럽Q 티업시간이 남아 있어 먼저 죽주산성에 들렸었고 아직 시간적 여유가 있어 우측으로 안내되는 골프클럽Q를 지나 칠장사로 향했다. 거리상으로는 얼마 안되지만 약 15분정도 거리였다.
칠장사는 안성시 칠현산 중턱에 자리한 절로,용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시대 자장율사가 처음 지었다고 전해진다. 칠장사의 내력은 고려 시대부터 잘 보존되어 있다. 고려 우왕 9년(1383)에는 왜구의 침입을 받아 충주 개천사에 있던 실록을 이곳으로 옮겨 와 보관했다 다시 가져갔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는 선조의 계비 인목대비가 아들 영창대군과 아버지 김제남의 명복을 비는 원당으로 삼고 사찰을 크게 고쳐 짓고 직접 글씨를 쓴 불경과 족자를 절에 내려 주었다.
이후 여러 차례 화재가 일어났으나 절을 지키려는 스님들의 노력으로 터를 옮겨 가며 다시 짓고 절을 보존했다. 특히 조선 숙종 30년(1704)에는 옛터를 회복하여 56동에 이르는 전각을 지었다고 한다. 그 후에도 여러 번 증축 등의 불사가 있었지만 고종 24년(1887)에 큰불이 나서 대웅전,원통전,명부전,나한전,사천왕문과 불상,불화 등만 남았다. 부속 암자로 백련암,극락암,명적암,상운암 등이 있었으나 조선 후기에 명적암을 제외한 다른 암자들은 폐사되거나 칠장사로 통합되었다.
칠장사에는 다양한 설화가 전해진다. 고려 초 혜소 스님이 이곳에서 공부하면서 선량하지 못한 7인을 교화하여 현인으로 만들고,혜소국사가 되었으며,입적 후에는 왕명을 받아 행적비가 조성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궁예가 19살까지 활쏘기를 하며 유년기를 보냈다는 활터 이야기와 임꺽정이 스승 병해대사가 입적하자 꺽정불꺽정해을 만들어 극락전에 모셨다는 이야기,어사 박문수가 나한전에서 자다가 꿈에서 시험 문제를 보고는 장원 급제를 했다는 이야기들이 남아 있다.
칠장사 일주문
주차장에서 보이는 범종각
천왕문
칠장사소조사천왕상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15호
칠장사 사천왕문(四天王門)에는 좌우로 각 2구씩 모두 4구의 사천왕상이 봉안 되어 있다. 사천왕상은 모두 악귀(惡鬼) 위에 걸터 앉아 두 눈을 부라린 험상궂은 얼굴로 칼 · 창 · 비파 등 무기를 든채 나쁜 무리를 몰아내는 당당한 기세를 하고 있다. 높이 342cm의 소조상(塑彫像)이며, 1726년(영조2)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각 부의 조각 장식에서 조선후기 사천왕상의 모습으로 머리에는 꽃이 달린 관을 쓰고 몸에는 혼갑 (昏甲)·흉갑(胸甲)등 치밀한 무늬로 새긴 갑옷을 입고 있는 모습은 장군의 늠름한 자세를 잘 표현하고 있다. 동방지국천왕은 비파를, 서방광목천왕은 용과 여의주를, 남방증장천왕은 칼을, 북방다문천왕은 창을 들고 있다.
열반당과 응향각(사진 아래)
죽산에 흩어져 있던 탑부재를 죽림리 성원목장에서 관리하여오다 강성원 선성의 기증으로 2005.11.28. 현재의 위치로 이전 설치하였다. 이 탑은 전체 높이가 375cm이고 상대갑석은 하나의 판석에 옥신괴임을 2단으로 둥글게 처리하였다. 1층 탑신은 2매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고 한 면에는 둥근 문고리를 조각하였으며 탑신마다 모서리기둥이 조각되어 있다. 옥개석은 모두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고 상륜부에는 방형 노반만이 남아 있다. 탑신부의 체감비율이나 옥개받침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고려 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칠장사 대웅전 보물 제2036호
Daeungjeon Hall of ChHjangsa Temple Treasure No. 2036
안성 칠장사 대웅전의 최초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790년정조14년 중창되고 1828년순조 28년 이건된 건물로서,경기도권의 조선후기 사찰 중심 불전의 건축 상횡을 잘 보여준다.
정면 3칸,측면 3칸이며,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A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공포형식은 기둥 상부 이외에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열한 다포형식이며 각 칸마다 2개의 간포뭔한가 있다. 내부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불화와 연꽃무늬로 채색되어 있고,중앙에는 석가삼존불을 모셨다.
안성 봉업사 석불입상은 원래 죽산의 봉업사지에 있먼 것을 죽산중학교로 옮겼다가 1880년경 칠장사로 옮겨온 것이다. 불상과 광배가 갈은 돌로 만들어졌으며 불상 높이는 166.5cm이고 총 높이는 206cm이다. 옷주름온 여러 검의 둥근 모앙율 이후며 자연스럽게 호르고 있다. 불상의 뒷면에는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가 있는데 주위에 불꽃무늬의 화불을 새기고 있다. 이 불상은 고려 초기에 유행했던 이 지방 불상양식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 높이 평가된다.
안성 봉업사 석불입상 安城雍藏寺 石佛立像 보물 983호 Stone standing Buddha Statue moved from Bongeopsa Temple Treasure No.983
이 삼존불은 1685년에 제작되었다. 불상의 신체비례와 조각수법을 볼 때 불상 3구 모두 전형적인 조선시대 후기 불상이다. 본존불인 석가여래좌상은 얼굴을 앞으로 내밀어 구부정한 모습이다. 17세기 전ㆍ중반에 제작된 불상과 비교해 볼 때 얼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둥글게 맞대고 있는 아미타수인을, 오른손은 손가락을 펴고 바닥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있다. 양 협시보살은 모습이 거의 흡사하나 우부처인 제화갈라보살이 약간 작고, 좌부처인 미륵보살은 연화가지를 들고 있다
명부전
칠장사 문화재 지킴이 관음이와 비로
마지막으로 어사 박문수가 기도를 올렸다는 나한전을 보려하는데 소나기가 쏟아진다.
나한전은 조선시대 어사 박문수가 과거를 치르러 가면서 칠장사에 머물던중 꿈에 나온 시제가 과거 시험에 그대로 나와 장원급제를 하였다는 전각으로서 지금도 입시철이 되면 수많은 학부모들이 이곳 나한전을 찾아 기도를 한다고 한다.
어사 박문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