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2021.12.18 22:14

남원 혼불문학관

조회 수 140 추천 수 0 댓글 0

남원 혼불문학관

 

10월 13일 전주에서 포항으로 가는 이번 출장길에는 완주-순천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남원 사매면에 있는 구 서도역과 혼불문학관을 경유했다.

남원시 사매면 노봉안길에 있는 혼불문학관은 최명희 대하소설 혼불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된 문학관이다. 혼불의 무대이기도 한 구 서도역은 1.5km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남원 혼불문학관 1.jpg

 

혼불문학관은 한옥으로 지어진 전시관과 꽃심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시관에는 최명희의 육필원고와 소설의 장면을 형상화한 디오라마 등이 있으며, 꽃심관은 쉼터와 같은 곳이다.

 

남원 혼불문학관 2.jpg

 

남원 혼불문학관 3.jpg

 

『혼불』 은 최명희님이 1980년 4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17년 동안 혼신을 바친 대하소설로, 20 세기 말 한국문학의 새 지평을 연 기념비적인 작품이다.『혼불』은 일제 강점기 때 사매면 매안마을의 양반가를 지키려는 3대의 며느리들과 거멍굴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선조들의 숨결과 손길, 염원과 애증을 우리말의 아름다운 가락으로 생생하게 복원하여 형상화 했다.『혼불』에서 우러나는 아름다움과 애련함, 근엄함과 서러움, 밝음과 어둠이 댓바람 소리와 함께 대실을 건너 노봉마을과 사매면을 감싸고 돈다. 꽃심을 지닌 땀 냄새 묻어나는 거멍굴의 이 골목 저 골목에서 혼불을 느낄 수 있다. 실개천을 따라 혼불과 걷노라면 최명희님의 속삭임이 들려온다.혼불문학관은 근원에 대한 그리움을 해소하고자 혼을 불사른 최명희님의 뜻을 영원히 기리고, 널리 알리고자 하는 아우름의 터전이다. 혼불의 문학정신은 혼불문학관과 『혼불』의 배경지 노봉마을에서 맑은 샘을 이뤄 넓디넓은 대양으로 힘차게 뻗어나갈 것이다. 혼불문학관 안내문

 

남원 혼불문학관 4.jpg

 

천추락만세향(千秋樂萬歲享)

"서북으로 비껴 기맥이 흐를 염려가 놓였으니, 마을 서북쪽으로 흘러내리는 노적봉과 벼슬봉의 산자락 기운을 느긋하게 잡아 묶어서, 큰 못을 파고, 그 기맥을 가두어 찰랑찰랑 넘치게 방비책만 잘 간구한다면 가히 백대 천손의 천추락만세향을 누릴 만한 곳이다 하고 이르셨다."

 

남원 혼불문학관 5.jpg

혼불문학관

 

남원 혼불문학관 6.jpg

꽃심관

 

남원 혼불문학관 7.jpg

호석(虎石)

 

남원 혼불문학관 8.jpg

 

호석(虎石)에는 "이 호석은 노봉마을에서 출토된 괴석으로 호랑이 형상을 닮은 돌이다. 혼불 정신선양을 위해서 낮에도 밤에도 최명희 혼불문학관을 영원히 지키리라."라고 새겨져 있다.

 

남원 혼불문학관 9.jpg

혼불문학관 현판

 

남원 혼불문학관 10.jpg

 

전라도 방언으로 '사람의 혼을 이루는 바탕, 혹은 죽기 얼마 전에 몸에서 빠져나가는 맑고 푸르스름한 빛'이 혼불이다. 최명희는 남원시 사매면을 배경으로 1930년대 매안이씨 삼대종부를 중심으로 복잡하게 얽힌 민초들의 이야기를 적확한 문체와 빼어난 문장으로 풀어낸다. 혼불은 1990년대 우리문학이 이룬 최대의 성과로 꼽힌다. 혼불은 그러나 미완으로 끝나고 만다. 최명희가 지병인 난소암으로 1998년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남원 혼불문학관 11.jpg

 

남원 혼불문학관 12.jpg

 

남원 혼불문학관 13.jpg

 

남원 혼불문학관 14.jpg

 

남원 혼불문학관 15.jpg

정근수 그 임의 하늘아래서

 

남원 혼불문학관 16.jpg

청호저수지

 

청호저수지는 비산비야 사질토로 물이 부족하여 농사짓기가 어려워 만든 저수지이다. 마올 서북쪽으로 뻗어내린 노적봉과 벼술봉의 산자락 기맥을 가두기 위해 큰 못을 파고 그 갇힌 기운이 찰랑찰랑 넘치게 한다면, 백대 천손의 천추락만세향 〈千秋樂萬歲享〉을 누릴만한 곳이다 하여 청암 부인이 실농한 셈치고 2년여에 걸쳐 만들었다.

저수지를 파다가 동서로 열다섯 자 네 치, 남북으로 열넉 자 두치에 이르는, 실로 거창한 바윗돌이 보면 볼수록 엎어 놓은 조갑치 형상인 조개바위가 나왔다. 사람들은 이 바위가 이씨 문중과 종가는 물론이거니와 온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이 될 것으로 굳게 믿었다. 이 저수지는 최명희 집안에 의해 100년 전에 만들어져 1987년 보수작업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남원 혼불문학관 17.jpg

 

달맞이동산

거멍굴의 떠꺼머리 노총각 춘복이는 일찍 부모를 여의고 공배네의 보살핌을 받으며 거멍굴 밭 기슭 농막에 혼자 살고 있다. 칼 눈썹, 검미(劍尾), 첨도미(尖刀眉)인 춘복이는 강실이를 통한 신분상승을 위해 정월 대보름에

동산에 올라 달맞이를 한다. 아직 아무도 안 본 새 달을 맨 먼저 보면서 간절한 소망을 기원하면 소원성취할 수 있다고 전해 내려 왔으며, 달맞이 동산은 청호저수지의 앞 쪽의 동산에 위치하고 최명희 작가의 부모님의 산소가 있다.

호성암

호성암은 마을 뒤 노적봉에 있는데,한때 수도하던 승려가 이삼십 명이니 되던 절이다. 이 절은 6.25 때 소실되었고 현재는 바위에 새겨진 석불만 남아 있다. 호성암은 일이 있을 때마다 매안과 고리배미, 거멍 굴 여인들이 공양미와 불전을 챙겨 들고 찾아간 곳이다. 호성암 도환스님과 강호는 본사 법련사를 가는 길에 사천왕상과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지 않는 원의 개념 동남 서북에 대해 이야기한다.

호성암은 호랑이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고 문학관 산책로를 이용 약 30분거리면 오를 수 있고 비산비야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1. 625전쟁 낙동간 최후의 방어선 다부동전투 · 다부동전적기념관

    지난 주말 구미 인동에서 포항으로 오며 먼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호국로에 있는 다부동전적기념관을 들렸다. 다부동은 대국 북방 22km에 위치한 지역으로 상주와 안동에서 대구로 통하는 5번, 25번 도로가 합쳐지고, 왜관으로 향하는 903번 지방도로의 시...
    Date2023.08.13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236
    Read More
  2. 포항함 체험관

    포항함 체험관은 1984년에 취역해 2009년에 퇴역한 1,200톤급 함정 PCC-756 포항함을 체험관으로 활용한 것으로 포항 동빈내항에 2010년 6월 12일 포항 시민의 날에 개관했다. 포항해상공원 캐릭터테마파크를 돌아보고 인근 동빈큰다리 옆에 있는 포항함 체험...
    Date2022.12.31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761
    Read More
  3. 등대의 역사가 한눈에...포항 호미곶 국립등대박물관

    구룡포 해안에 자생하고 있는 해국을 감상하며 해안도로를 따라 호미곶으로 가는 길 2022년 세계등대유산으로 지정된 호미곶등대가 보인다. 지난번 호미곶등대를 방문하였을때 코로나-19로 인해 개방하고 있지 않았던 국립등대박물관을 관람 했다. 등대는 고대...
    Date2022.11.18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361
    Read More
  4. 부안 변산반도 적벽강 · 하섬전망대

    부안 변산반도 해안도로인 30번 국도 변산해변로를 따라 올라가는 길 부안청자박물관 - 내소사 - 채석강을 거쳐 적벽강에 도착했다. 부안 채석강과 적벽강 일원은 과거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곳으로 오랜 세월에 걸쳐 쌓인 퇴적층이 강한 파도와 바람의 영향...
    Date2022.08.30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360
    Read More
  5. 서산 간월도 어리굴젓 기념탑

    가수 조미미의 노래 '서산갯마을'의 무대인 간월도는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에 위치한 섬으로 천수만 한가운데 있다가 1980년대 천수만 간척지 개발사업으로 인해 육지와 연결되었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왕사인 무학대사가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서...
    Date2022.08.30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91
    Read More
  6.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서천갯벌

    온 인류가 소중히 여기고 후세에 물려줘야 할 귀중한 자산 세계자연유산 서천갯벌 서천갯벌은 지난해 7월 26일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 등과 함께 4개로 구성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을 유네스코 ...
    Date2022.08.30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265
    Read More
  7. 예산 추사 김정희 고택 · 김정희 묘 · 추사기념관 · 김정희 선생 유적지

    김정희선생유적은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는 추사 김정희의 유적으로 김정희 선생 고택과 월성위 김한신묘, 화순옹주 홍문, 예산 용궁리 백송, 김정희묘가 있으며 1980년 10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되었다. 추사김정희는 글과 그림, 글씨가 ...
    Date2022.08.29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386
    Read More
  8. 논산 연무대 안녕고개 육군훈련소 입영심사대

    1번 국도를 따라 논산을 지나 연무읍 득안대로를 달리다 보면 좌측으로 연무대 육군훈련소를 지나게 된다. 군대를 다녀온 대한민국 남성이라면 아마도 논산훈련소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연무대에서 조금 더 내려가면 육군훈련소 입영심사대가 나오는데...
    Date2022.08.22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784
    Read More
  9. 한국의 보물 덕수궁 중화전 · 중화문

    덕수궁(德壽宮)은 1897년에 선포된 황제국,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옛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었다.그러나 1904년 덕수궁 대화재와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 이후 덕수궁은 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고 이때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 중화전...
    Date2022.08.16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91
    Read More
  10. 진안 매사냥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0주년 매사냥 시연

    진안 매사냥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0주년 매사냥 시연 2020년 11월 21일 전라북도 진안군 매사냥 체험 홍보관(전북 진안군 백운면 임진로 1342) 지난 21일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매사냥 체험 홍보관에서 진안 매사냥 공개 시연회가 있었다. 이번 ...
    Date2022.08.15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74
    Read More
  11. 장선 단전리 느티나무 천연기념물 제478호

    장성 단전리 느티나무 전남 장성군 북하면 단전리 291번지에 있는 단전리 느티나무는 천연기념물 제478호다. 반원형의 미려한 수형에 지금까지 밝혀진 느티나무 중 가장 큰 나무로서 생육상태도 아주 좋아 우리나라 느티나무를 대표할 만하다. 단전마을의 도강...
    Date2022.08.15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31
    Read More
  12. 여수에서 맛보는 하모회 (갯장어)

    여수에 들렸으니 하모회 맛을 보지 않을 수 없다. 한여름의 인기 보양식인 갯장어는 입에서 살살 녹는 부드러운 갯장어회와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먹는 갯장어 샤부샤부로 유명하다. 갯장어는 참장어와 붕장어가 있는데 샤부샤부를 해서 먹는 갯장어, 일명 '하...
    Date2022.08.15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46
    Read More
  13. 함양 남계서원 · 청계서원

    남계서원 南溪書院 Namgyeseowon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사적 제499호 Historic Site No.499 경남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남계서원 하마비 서원은 조선시대의 사설 교육기관이자 선현들을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남계서원은 조선 초기 성리...
    Date2022.08.15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148
    Read More
  14. 군산 하제항

    전라북도 군산 하제항. 1974년부터 어항이었던 이곳은 2010년 새만금 방조제가 완성되면서 그 상실하고 물에 반쯤 잠긴 폐어선이 줄지어 있다. 어선을 치우는 비용이 많이 들어 아직 방치돼 있다고 한다. 포구였던 기억을 잃은 하제마을도 마을이었던 자취도 ...
    Date2022.08.15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19
    Read More
  15. 해병대 교육훈련단 입영 쉼터 포항 오천 일월문화공원

    포항에는 해병대1사단, 해병대교육훈련단, 해병대군수단, 해병대항공단이 주둔하고 있고 해병대교육훈련단은 해병대에 입대하는 신병들이 매월 입영하는 곳이다. 해병대 입영시 신병들은 기존에는 교육훈련단 정문 1개소로 입영했으나 주변도로 교통혼잡 현상...
    Date2022.04.25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544
    Read More
  16. 노고단 정망대갸 있는 고속도로휴게소 10대 사진명소 황전휴게소

    고속도로 휴게소 10대 사진명소 황전(전주방향)휴게소 완주순천간 고속도를 이용하여 전주로 가는 길에 잠시 휴식을 취하기 위해 황전휴게소에 들렸다.황전(전주방향)휴게소는 한국도로공사가 창립 50주년 기념으로 진행한 ‘고속도로 휴게소 10대 사진명소’ 중...
    Date2022.03.16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326
    Read More
  17. 다시보는 전주한옥마을 소리문화관

    어린시절 뛰어 놀던 동네였던 한옥마을 풍남동 일대를 20여년만에 찾았었다. 집앞에는 당시 전주여상 생활관이 있었는데 그곳에는 소리문화관과 한옥생활체험관, 전통술박물관 등이 들어서 있었다. 당시 촬영했던 소리문화관 사진을 찾아보니 2011년 7월과 9월...
    Date2022.03.16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200
    Read More
  18. 다시보는 전주한옥마을 한옥생활체험관

    전주 한옥생활체험관은 전주전통문화지구 문화시설로 2002 월드컵이 열리기 전인 5월 25일에 개관했다. 풍남동 리베라호텔(현 리한호텔) 뒤편의 한옥생활체험관은 전통양식으로 지어진 한옥에서 숙식을 하며 민속놀이등 전통생활을 직접 체험하는 공간이다. 바...
    Date2022.03.15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222
    Read More
  19. 거창 수승대 Suseungdae, Geochang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이었던 3월 9일 포항에서 전주로 가며 합천향교를 돌아 보고 이후에는 국도를 이용 거창과 함양을 경유하였다. 거창에서는 대표관광지인 수승대와 수승대 경내에 있는 구연서원을 돌아 보았다. 수승대 입구로 들어서면 넓직한 주차장이 조...
    Date2022.03.14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265
    Read More
  20. 한국의 보물 영천 청제비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산 7-1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영천청제비(永川菁堤碑)는 영천 청못[菁池]의 축조와 중수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비석으로 1969년 11월 21일 보물 제517호로 지정됐다. 이 비는 신라시대(新羅時代)청못이라는 저수지 수축과 관련 있는 양...
    Date2022.03.13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2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