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2022.01.24 05:21

포항 철길숲과 불의 정원

조회 수 166 추천 수 0 댓글 0

 

약 100년간 기차가 달리던 포항시 남구 효자역과 옛 포항역 사이 4.3km 구간은 2015년 KTX포항역 이전으로 폐철도가 되었다. 그러나 이 포항 도심의 폐철도부지는 2018년 숲길로 탈바꿈해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포항 철길숲(Forail)은 미래지향적인 도시재생과 녹색생태도시 조성의 모범사례로 꼽히는 ‘포항 그린웨이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막을 올리기에 앞서 2018년 5월 19일 1~2공구인 효자교회~이동고가차도 2.1km가 먼저 개통됐다. 3공구인 이동고가차도~서산터널 2.2㎞구간을 2018년 7월 개통해 총 길이 4.3㎞, 면적 12만㎡에 이르는 대규모 도시숲에서 시민이 문화와 휴식공간을 즐기고 있다.

철도부지 도시숲 조성사업은 지난 2015년 4월 KTX 포항 직결선 개통으로 발생한 철도 유휴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폐철도부지를 시민친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공간재생사업으로, 지난 2016년부터 3개 공구로 나누어 도시숲 조성사업을 진행해 왔다.


포항철길숲_2756.jpg

 

불의정원을 앞쪽에는 증기기관차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일제강점기 때부터 운행했던 미카형 증기기관차로 하늘로 날아오를 듯한 모습이다. 마치 만화 은하철도999의 한 장면처럼 기관차가 미지의 세계로 떠나는 상상을 해 본다.
 

포항철길숲_2757.jpg

포항 철길숲의 증기기관차포항시의 역동성과 상징성을 담고 있다.
 

포항철길숲_2758.jpg

 


 

불의 정원

 

불의 정원은 포항 철길숲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관정 굴착 중 지하 200m 지점에서 나온 천연가스에 불꽃이 옮겨 붙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금방 꺼질 것으로 보고 기다렸으나 불길이 오랜 기간 지속되자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불의정원을 조성하였다.

 

 

 

포항철길숲_2765.jpg

포항 철길숲 불의 정원 천년의 불꽃

 

포항철길숲_2766.jpg

 

이곳은 2017년 3월 8일 14시 53분경 폐선된 철도부지 도시숲 조성에 따른 관정 굴착 중 지하 200m 지점에서 천연가스가 분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가스 분출은 포항시 남구 효자역과 옛 포항역 사이 4.3km 폐철도 부지를 도시 숲으로 조성하는 과정에서 관정작업 중 땅속에서 나온 천연가스에 불꽃이옮겨불어 불길이 치솟았다. 금방 꺼질 것으로 보고 기다렸으나 불길이 오랜기간 이어지자 포항시는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불의정원을 조성하고 지질자원 관련 전문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조사 중에 있다. 여기에 타오르고 있는 불꽃에서 생겨나는 붉은 빛을 띤 기운처럼 … 24시간 꺼지지 않는 포항경제의 심장 포스코의 용광로처럼 … 이 땅에 새로운 희망의 불길로 타오르기를 간절히 염원하고 있다. 불의 정원 안내문
 

포항철길숲_2773.jpg

 

포항철길숲_2774.jpg

 

우리나라는 울산 앞바다 대륙봉부근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있지만, 육지에서 경제적 가치가 있는 천연가스 유전이 발견된 적은 없다. 포항은 지난 1976년 해도동에서 석유가 발견된 적이 있고 2006년에는 흥해읍 성곡리 가정집에서 천연가스가 발견돼 세간의 관심을 불러온 적이 있다.
 

포항철길숲_2784.jpg

 


 

 

포항 철길숲을걷다!

포항철길숲_2795.jpg

 

철도길은 주택가를 관통하여 도시숲을 조성 되었는데 수경시설인 벽천, 음악분수, 스틸아트 작품 등이 관광객의 눈길을 사로잡으며 미래지향적인 도시재생과 녹색생태도시조성의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포항철길숲_2795_1.jpg

 

포항철길숲의 영문 명칭인 ‘Forail(포레일)’은 숲을 뜻하는 ‘Forest’와 기찻길을 뜻하는 ‘Rail’의 합성어다.
 

포항철길숲_2796.jpg

 

포항철길숲_2797.jpg

 

포항철길숲_2802.jpg

포항철길숲 곳곳에는 철로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어 운치를 더한다
 

포항철길숲_2805.jpg

 

포항철길숲_2806.jpg

 

포항철길숲_2811.jpg

포항시민 직조프로젝트 '한줄씩 엮어주세요'

 

버려지는 폐현수막으로 만들어지는 '직조해먹'은 여러 사람들의 손끝에서 창작되는 것에 완성되어 짐에 의미를 둔다고 한다.

 

포항철길숲_2813.jpg

 

영일대해수욕장에서 철길숲으로 옮긴 조형물 만남 2017 천판 200장을 쌓아서 만든 작품이다.
 

포항철길숲_2818.jpg

 

포항철길숲_2819.jpg

 

 

포항철길숲_2823.jpg

 

수경시설인 벽천폭포는 휴일(60분간) 11, 13, 15, 17시 총4회 운영하며, 음악분수는 휴일(20분간) 10, 12, 14, 16, 18시 총5회, 스크린분수는 휴일(20분간) 20, 21, 22, 23시 총4회 운영중에 있다.
 

포항철길숲_2824.jpg

 

신철기시대, 2017 포항

 

포항철길숲_2826.jpg

 

포항철길숲_2831.jpg

 

철길숲 곳곳에는 다양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포항철길숲_2836.jpg

물에 물주는 소녀 A Girl Watering to Water
 

포항철길숲_2837.jpg

 

포항철길숲_2838.jpg

 

포항철길숲_9936.jpg

 

포항철길숲_9955.jpg

 

어린이놀이, 휴양, 수경 시설 등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는 철길숲에서 가족과 연인, 친구 등과 함께 휴식을 취하고 소중한 추억을 남길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포항시는 지난 21일 포항철길숲 상생숲길 인도교 연결사업 기공식을 갖고 이번 사업으로 연일읍 유강리 제2수원지 정수장에서 형산강을 연결하는 교량을 건설한다.

인도교는 램프구간을 포함해 총 길이 140m, 폭 3m의 보행교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양쪽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철길숲과 형산강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도 들어서게 된다.

특히, 포항시는 인도교 건설로 철길숲과 형산강 상생인도교를 연결해 연계효과를 극대화하며 ‘걷는 길 인프라’를 구축하고 아울러 인도교는 포항에 진입하는 7번 국도에 위치하고 경관조명시설까지 갖출 계획으로, 연결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또 하나의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되하고 있다.

 



  1. 625전쟁 낙동간 최후의 방어선 다부동전투 · 다부동전적기념관

    지난 주말 구미 인동에서 포항으로 오며 먼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호국로에 있는 다부동전적기념관을 들렸다. 다부동은 대국 북방 22km에 위치한 지역으로 상주와 안동에서 대구로 통하는 5번, 25번 도로가 합쳐지고, 왜관으로 향하는 903번 지방도로의 시...
    Date2023.08.13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235
    Read More
  2. 포항함 체험관

    포항함 체험관은 1984년에 취역해 2009년에 퇴역한 1,200톤급 함정 PCC-756 포항함을 체험관으로 활용한 것으로 포항 동빈내항에 2010년 6월 12일 포항 시민의 날에 개관했다. 포항해상공원 캐릭터테마파크를 돌아보고 인근 동빈큰다리 옆에 있는 포항함 체험...
    Date2022.12.31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759
    Read More
  3. 등대의 역사가 한눈에...포항 호미곶 국립등대박물관

    구룡포 해안에 자생하고 있는 해국을 감상하며 해안도로를 따라 호미곶으로 가는 길 2022년 세계등대유산으로 지정된 호미곶등대가 보인다. 지난번 호미곶등대를 방문하였을때 코로나-19로 인해 개방하고 있지 않았던 국립등대박물관을 관람 했다. 등대는 고대...
    Date2022.11.18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359
    Read More
  4. 부안 변산반도 적벽강 · 하섬전망대

    부안 변산반도 해안도로인 30번 국도 변산해변로를 따라 올라가는 길 부안청자박물관 - 내소사 - 채석강을 거쳐 적벽강에 도착했다. 부안 채석강과 적벽강 일원은 과거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곳으로 오랜 세월에 걸쳐 쌓인 퇴적층이 강한 파도와 바람의 영향...
    Date2022.08.30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359
    Read More
  5. 서산 간월도 어리굴젓 기념탑

    가수 조미미의 노래 '서산갯마을'의 무대인 간월도는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에 위치한 섬으로 천수만 한가운데 있다가 1980년대 천수만 간척지 개발사업으로 인해 육지와 연결되었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왕사인 무학대사가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서...
    Date2022.08.30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188
    Read More
  6.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서천갯벌

    온 인류가 소중히 여기고 후세에 물려줘야 할 귀중한 자산 세계자연유산 서천갯벌 서천갯벌은 지난해 7월 26일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 등과 함께 4개로 구성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을 유네스코 ...
    Date2022.08.30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263
    Read More
  7. 예산 추사 김정희 고택 · 김정희 묘 · 추사기념관 · 김정희 선생 유적지

    김정희선생유적은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는 추사 김정희의 유적으로 김정희 선생 고택과 월성위 김한신묘, 화순옹주 홍문, 예산 용궁리 백송, 김정희묘가 있으며 1980년 10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되었다. 추사김정희는 글과 그림, 글씨가 ...
    Date2022.08.29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382
    Read More
  8. 논산 연무대 안녕고개 육군훈련소 입영심사대

    1번 국도를 따라 논산을 지나 연무읍 득안대로를 달리다 보면 좌측으로 연무대 육군훈련소를 지나게 된다. 군대를 다녀온 대한민국 남성이라면 아마도 논산훈련소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연무대에서 조금 더 내려가면 육군훈련소 입영심사대가 나오는데...
    Date2022.08.22 Category충청남도 By운영자 Views783
    Read More
  9. 한국의 보물 덕수궁 중화전 · 중화문

    덕수궁(德壽宮)은 1897년에 선포된 황제국,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옛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었다.그러나 1904년 덕수궁 대화재와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 이후 덕수궁은 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고 이때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 중화전...
    Date2022.08.16 Category경기도 By운영자 Views188
    Read More
  10. 진안 매사냥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0주년 매사냥 시연

    진안 매사냥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0주년 매사냥 시연 2020년 11월 21일 전라북도 진안군 매사냥 체험 홍보관(전북 진안군 백운면 임진로 1342) 지난 21일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매사냥 체험 홍보관에서 진안 매사냥 공개 시연회가 있었다. 이번 ...
    Date2022.08.15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73
    Read More
  11. 장선 단전리 느티나무 천연기념물 제478호

    장성 단전리 느티나무 전남 장성군 북하면 단전리 291번지에 있는 단전리 느티나무는 천연기념물 제478호다. 반원형의 미려한 수형에 지금까지 밝혀진 느티나무 중 가장 큰 나무로서 생육상태도 아주 좋아 우리나라 느티나무를 대표할 만하다. 단전마을의 도강...
    Date2022.08.15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31
    Read More
  12. 여수에서 맛보는 하모회 (갯장어)

    여수에 들렸으니 하모회 맛을 보지 않을 수 없다. 한여름의 인기 보양식인 갯장어는 입에서 살살 녹는 부드러운 갯장어회와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먹는 갯장어 샤부샤부로 유명하다. 갯장어는 참장어와 붕장어가 있는데 샤부샤부를 해서 먹는 갯장어, 일명 '하...
    Date2022.08.15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144
    Read More
  13. 함양 남계서원 · 청계서원

    남계서원 南溪書院 Namgyeseowon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사적 제499호 Historic Site No.499 경남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남계서원 하마비 서원은 조선시대의 사설 교육기관이자 선현들을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남계서원은 조선 초기 성리...
    Date2022.08.15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148
    Read More
  14. 군산 하제항

    전라북도 군산 하제항. 1974년부터 어항이었던 이곳은 2010년 새만금 방조제가 완성되면서 그 상실하고 물에 반쯤 잠긴 폐어선이 줄지어 있다. 어선을 치우는 비용이 많이 들어 아직 방치돼 있다고 한다. 포구였던 기억을 잃은 하제마을도 마을이었던 자취도 ...
    Date2022.08.15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19
    Read More
  15. 해병대 교육훈련단 입영 쉼터 포항 오천 일월문화공원

    포항에는 해병대1사단, 해병대교육훈련단, 해병대군수단, 해병대항공단이 주둔하고 있고 해병대교육훈련단은 해병대에 입대하는 신병들이 매월 입영하는 곳이다. 해병대 입영시 신병들은 기존에는 교육훈련단 정문 1개소로 입영했으나 주변도로 교통혼잡 현상...
    Date2022.04.25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543
    Read More
  16. 노고단 정망대갸 있는 고속도로휴게소 10대 사진명소 황전휴게소

    고속도로 휴게소 10대 사진명소 황전(전주방향)휴게소 완주순천간 고속도를 이용하여 전주로 가는 길에 잠시 휴식을 취하기 위해 황전휴게소에 들렸다.황전(전주방향)휴게소는 한국도로공사가 창립 50주년 기념으로 진행한 ‘고속도로 휴게소 10대 사진명소’ 중...
    Date2022.03.16 Category전라남도 By운영자 Views326
    Read More
  17. 다시보는 전주한옥마을 소리문화관

    어린시절 뛰어 놀던 동네였던 한옥마을 풍남동 일대를 20여년만에 찾았었다. 집앞에는 당시 전주여상 생활관이 있었는데 그곳에는 소리문화관과 한옥생활체험관, 전통술박물관 등이 들어서 있었다. 당시 촬영했던 소리문화관 사진을 찾아보니 2011년 7월과 9월...
    Date2022.03.16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199
    Read More
  18. 다시보는 전주한옥마을 한옥생활체험관

    전주 한옥생활체험관은 전주전통문화지구 문화시설로 2002 월드컵이 열리기 전인 5월 25일에 개관했다. 풍남동 리베라호텔(현 리한호텔) 뒤편의 한옥생활체험관은 전통양식으로 지어진 한옥에서 숙식을 하며 민속놀이등 전통생활을 직접 체험하는 공간이다. 바...
    Date2022.03.15 Category전라북도 By운영자 Views220
    Read More
  19. 거창 수승대 Suseungdae, Geochang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이었던 3월 9일 포항에서 전주로 가며 합천향교를 돌아 보고 이후에는 국도를 이용 거창과 함양을 경유하였다. 거창에서는 대표관광지인 수승대와 수승대 경내에 있는 구연서원을 돌아 보았다. 수승대 입구로 들어서면 넓직한 주차장이 조...
    Date2022.03.14 Category경상남도 By운영자 Views263
    Read More
  20. 한국의 보물 영천 청제비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산 7-1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영천청제비(永川菁堤碑)는 영천 청못[菁池]의 축조와 중수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비석으로 1969년 11월 21일 보물 제517호로 지정됐다. 이 비는 신라시대(新羅時代)청못이라는 저수지 수축과 관련 있는 양...
    Date2022.03.13 Category경상북도 By운영자 Views20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CLOSE